티스토리 뷰

반응형


대한민국의 주택관리사(정식 자격) 또는 주택관리사보 시험과 실제 취업 및 연봉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릴게요 🙂


🧩 시험 난이도와 합격률

1차 시험 (객관식 3과목)

  • 합격률 약 10~20% 수준으로 매우 낮음
  • e.g. 2023년 12.3%, 2022년 21.8%, 2021년 12.7% .
  • 과목당 50분, 민법·회계원리·공동주택시설개론 등 방대한 학습량이 필요 

2차 시험 (법규·실무)

  • 1차 합격자 대상 상대평가로 전환됨. 합격률은 약 45~50% 내외 
  • 목표는 75~80점 이상 점수 확보 필요
  • 주관식 출제로 깊은 이해와 암기력이 요구됨

→ 공부 기간

  • 독학: 보통 6개월~1년 소요, 경력이나 법·회계 기초가 있다면 6개월 이내 가능


💼 취업 후 연봉과 업무

연봉(월급)

  • 초임 월 200~250만 원, 연봉 약 3,000만~3,500만 원 
  • 평균 연봉: 약 3,500만 원 (한국고용정보원, 부자책방 기준) 
  • 중위권(50%) ~ 상위 25%는 4,590만 원 이상, 상위 25%는 4,600만 원 이상 
  • 경력 2년 이상, 500세대 이상 아파트 관리인 경우 연봉 4,000만~5,000만 원 수준
  • 서울 강남 일부 고급 단지 관리소장은 1억 원 이상도 가능함

월급 예시

  • 1년 차: 250~300만 원
  • 2~3년 차: 300~350만 원
  • 3년 이상: 320~400만 원 이상
  • 세대수별 월급 예시:
    • 100세대 : 300만 원
    • 300세대 : 350만 원
    • 500세대 : 400만 원
    • 1,000세대 이상: 400만 원 이상

직무 환경 & 전망

  • 공동주택 시설 보수, 회계, 안전 등 종합 관리 역할을 수행 
  • 정년 없이 안정적, 특히 어르신에게 인기 있으며 여성 비율도 약 29%로 증가추세
  • 150세대 이상 아파트에는 의무적으로 주택관리사 채용
  • 인구 감소와 부동산 시장 위축에도 일자리 수요는 지속될 전망

장점

  • 안정적인 생활 및 노후 보장
  • 자격증만 있으면 연령이나 성별 무관
  • 업무 범위가 다양하며 수요 꾸준

단점

  • 사회적 갈등 대응 (입주민 요구·갑질 등)
  • 야간·긴급 대응 가능성
  • 인기 자격증으로 경쟁 심함

✅ 요약

항목내용
난이도 1차: 합격률 10~20%, 2차 상대평가 40~50%
시험 기간 독학 6개월~1년 (기초 유무에 따라 차이)
초임 연봉 월 200~300만원, 추후 500만 원 수준
중고경력 연봉 4,000~5,000만 원 (경력·아파트 규모에 따라 차이)
상위 케이스 일부 대형·고급 단지 관리소장 연봉 1억 원 이상
전망 안정적이지만, 책임과 경쟁 과제 상존
 

📌 추천 전략

  1. 법·회계 기초가 약하다면, 6~12개월은 잡고 인강 활용하세요.
  2. 기출 분석 중심 학습 + 2차 실전 대비 주관식 연습 필수.
  3. 초임은 소규모 아파트 → 경력 쌓고 대형 단지로 이동.
  4. 네트워킹(학원, 동문 등) 통해 관리 업체 연결도 중요.

 

반응형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